🏛️ 파면 이후 첫 행보…언론이 만든 ‘정치적 이벤트’
2025년 5월 2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부정선거 음모론을 다루는 다큐멘터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를 관람하러 서울의 한 영화관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파면 후 47일 만의 첫 공개 행보였던 만큼, 전국 기자들과 방송사, 그리고 유튜브 채널까지 총출동해 현장을 실시간 중계했습니다.
이러한 ‘관람 행사 중계’식 언론 보도는, 내란 피의자로 재판을 받는 전직 대통령의 존재감을 과도하게 확대해 준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 “속보”와 실시간 생중계, 언론 보도의 무비판적 태도
윤 전 대통령의 등장과 동시에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다큐 영화 관람>, <[속보] 尹, '부정선거 다큐' 상영관 도착…파면 이후 첫 공개행보> 등 수많은 언론이 ‘속보’ 타이틀을 붙여 보도했습니다. 일부 매체는 유튜브 등으로 현장을 실시간 스트리밍까지 했습니다.
현장에서는 윤 전 대통령 지지자 수십 명이 “윤석열”을 연호했고, 영화 속 비상계엄 장면에서는 박수까지 터져 나왔습니다.
이 상황에서 언론은 파면된, 그리고 내란 혐의로 재판 중인 전직 대통령의 이미지를 마치 ‘연예인 행사’ 수준으로 전달했습니다. 언론이 사회적 맥락을 비판적으로 조망하기는커녕, ‘관람 행사’ 자체에 초점을 맞추면서 피의자의 영향력만 덩달아 높여준 셈입니다.
🗨️ 언론 책임론…"내란 피의자 존재감 키운 중계보도"
민주언론시민연합 신미희 사무처장은 "네이버에 관련 뉴스가 400건이 넘고, 대부분 ‘파면 전직 대통령’이나 ‘내란 우두머리 혐의 피의자’라는 맥락은 빠진 채 이벤트식 동정보도만 가득하다"고 비판했습니다. “속보, 라이브 중계 등의 단순 전달은 오히려 범죄 피의자의 사회적 영향력과 존재감을 과도하게 부풀리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지적입니다.
언론개혁시민연대 권순택 사무처장 역시 "언론이 윤석열의 신분을 애매하게 다룸으로써 결과적으로 그를 ‘정치적 주연’으로 띄운다. 사회적 의미와 위험성, 정치적 맥락을 적극적으로 해설하지 않는 한 이는 ‘관계없는 자연인’이 아니라 여전히 영향력 있는 인물로 만들어준다"고 비판했습니다.
🎥 영화 감상도 ‘정치행위’…내란 범죄 정당화 논란
이번에 윤 전 대통령이 선택한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는 부정선거 음모론을 전면에 내세운 다큐멘터리입니다. 해당 작품은 윤 전 대통령이 국가 비상계엄, 즉 내란 선포를 단행한 근거로 ‘중앙선관위의 부정선거’를 명분 삼았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번 영화 관람은 “자신의 내란 혐의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정치적 퍼포먼스” 성격이 강하다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신미희 처장은 "위법적 주장을 담고 있는 영화를 내란 피의자가 관람하며 언론이 '관람행사 중계'에 몰두하는 것은 범죄 세탁에 불과하다"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 언론, ‘발언 전달자’로만 전락…“비판 대신 동조?”
더 큰 문제는 언론이 영화나 행사에 참여한 주요 인물(제작자 전한길·이영돈 등)의 발언을 검증 없이 그대로 인용하거나 제목에 사용했다는 점입니다. 한겨레, 오마이뉴스 등 진보 매체조차 “공명선거에 도움”, “이영돈 ‘이번 대선도 조작 확신’”식으로 제목을 뽑으며, 핵심 논란의 본질을 해설하지 않은 동정보도를 이어갔습니다.
권순택 사무처장은 "이런 동정보도는 정치적 이해관계자의 계획에 언론이 도구처럼 활용되는 결과"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검증 없이 그들의 주장을 옮겨 적는 언론이 정말 그런 방향을 원하는가"라는 자성도 함께 요구됐습니다.
🏛️ 정치적 파장과 사회적 위험
윤 전 대통령의 이번 행보는 단순한 영화 관람이 아닙니다.
대선을 2주 앞둔 시점에서, 부정선거 음모론으로 정치적 결집을 도모하는 노골적인 메시지일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국민의힘조차도 “윤 전 대통령과 무관하다”, “재구속이 필요하다”는 등 난감함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정치적 관점에서 볼 때, 언론이 이러한 행사를 제대로 걸러내지 않고 무비판적으로 중계했다는 건 사회적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언론의 ‘관람행사 중계’가 남긴 질문
이번 윤석열 전 대통령의 영화관 행보를 집중 중계한 언론 보도는 단지 전직 대통령의 근황을 알리는 데 그치지 않고, 내란 피의자로서의 정치적 영향력 강화를 공공연히 뒷받침한 꼴이 됐습니다.
특히 대선을 앞둔 중요한 국면에서 언론의 ‘이벤트식 보도’는 민주주의 원칙보다 흥행과 선정성에 눈먼, 자기기능 상실로 비판받아 마땅합니다.
앞으로 언론은
- 단순 중계가 아니라 사회적 맥락과 인물의 법적 신분을 명확히 해설하고,
- 위법적 주장·범죄 정당화 시도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보도 기준을 확립해야 할 것입니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슈 뉴스 > 관심집중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이 뉴스_중앙선관위의 공식 경고 (4) | 2025.05.22 |
---|---|
오늘 이 뉴스_'건진 샤넬백' 미스터리 (3) | 2025.05.22 |
오늘 이 뉴스_김건희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5) | 2025.05.21 |
오늘 이 뉴스_43년 만에 무죄… 법정에서 울려 퍼진 진심 어린 사죄의 순간 (0) | 2025.05.21 |
오늘 이 뉴스_김건희 휴대전화, 서울고검 도이치모터스 재수사팀도 확보... 수사 속도 붙나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