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령공(衛靈公) 子曰 君子 不以言擧人 不以人廢言(자 왈 군 자 불 이 언 거 인 불 이 인 폐 언) 공자가 말하였다. "군자는 말을 잘한다고 해서 그 사람을 등용하지 아니하고, 또한 그 사람의 겉모습만 보고 그의 의견까지 묵살하지는 않는다."衛 : 호위할 위 / 靈 : 영묘할 영 / 擧 : 들 거 / 廢 : 폐할 폐 문화 & 예술 & 스포츠/독서삼매경 2023.03.12
채근담 利欲未盡害心 意見乃害心之蟊賊 聲色未必障道 聰明乃障道之藩屛 (이 욕 미 진 해 심 의 견 내 해 심 지 모 적 성 색 미 필 장 도 총 명 내 장 도 지 번 병) 이익을 향한 욕심이 모든 마음을 다 갉아먹는 것이 아니라 독단적인 고집스러운 생각이 바로 마음을 해치는 해충이고, 애욕이 반드시 도를 가로 막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총명하다는 생각이 바로 도를 가로막는 장애가 되는 것이다. 欲 : 바랄 욕 / 盡 : 다할 진 / 害 : 해칠 해 / 乃 : 이에 내 / 蟊 : 해충 모 / 賊 : 도둑 적 聲 : 소리 성 / 障 : 막힐 장 / 總 : 거느릴 총 / 藩 : 가릴 번 / 屛 : 병풍 병 문화 & 예술 & 스포츠/독서삼매경 2023.03.11
안분편(安分篇) 知足常足 終身不辱 知止常止 終身無恥(지 족 상 족 종 신 불 욕 지 지 상 지 종 신 무 치) 항상 넉넉함을 알고 만족한다면 종신토록 욕되지 않고, 그칠 줄을 알고 항상 그치면 종신토록 부끄러움이 없다.常 : 항상 상 / 終 : 마칠 종 / 辱 : 욕 욕 / 恥 : 부끄러울 치 문화 & 예술 & 스포츠/독서삼매경 2023.03.11
위정편(爲政篇) 子曰 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자 왈 도 지 이 정 제 지 이 형 민 면 이 무 치 도 지 이 덕 제 지 이 례 유 치 차 격) 공자가 말하였다. "백성을 정치(政)로 이끌고, 형벌(刑)로 다스리면, 백성은 형벌을 면하고도 부끄러움을 모른다.덕(德)으로 이끌고, 예(禮)로 다스리면, 백성은 부끄러움을 알고 또한 잘못을 바로잡게 된다. "道 : 길 도 / 政 : 정사 정 / 齊 : 엄숙할 제 / 刑 : 형벌 형 / 免 : 면할 면 / 恥 : 부끄러울 치 / 德 : 덕 덕 / 禮 : 예절 례 / 且 : 버금 차 / 格 : 격식 격 문화 & 예술 & 스포츠/독서삼매경 2023.03.11
채근담 夜深人靜 獨坐觀心 始覺妄窮而眞獨露 每於此中 得大機趣 旣覺眞現而妄難逃 又於此中 得大慚忸 (야 심 인 정 독 좌 관 심 시 각 망 궁 이 진 독 로 매 어 차 중 득 대 기 취 기 각 진 현 이 망 난 도 우 어 차 중 득 대 참 뉵) 깊은 밤 모든 사람과 사물이 고요할 때 홀로 앉아 마음을 살펴보면 비로소 허망한 생각이 흩어지고 참된 마음이 나타나는 것을 깨닫게 되고, 이런 가운데 큰 진리를 얻게 된다. 그러나 이미 참된 마음이 나타났음을 느끼면서도 허망한 생각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면 또한 그 가운데서 큰 부끄러움을 느끼게 될 것이다. 深 : 깊을 심 / 靜 : 고요할 정 / 坐 : 앉을 좌 / 始 : 비로소 시 / 覺 : 깨달을 각 / 妄 : 망령 망 窮 : 다할 궁 / 露 : 이슬 로 / 每 : 매양 매.. 문화 & 예술 & 스포츠/독서삼매경 2023.03.10
효행편(孝行篇) 子曰 孝子之事親也 居則致其敬 養則致其樂 病則致其憂 喪則致其哀 祭則致其嚴(자왈 효자지사친야 거즉치기경 양즉치기락 병즉치기우 상즉치기애 제즉치기엄) 공자가 말하였다. "효자가 아버지를 섬길 시에 기거함에는 공경함을 다하고, 받들어 섬김에 즐거움을 다하고, 병드실 때에는 근심을 다하고, 돌아가신 때에는 슬픔을 다하고, 제사를 지낼 때에는 엄숙함을 다하여야 한다."親 : 친할 친 / 居 : 살 거 / 致 : 이를 치 / 敬 : 공경할 경 / 養 : 기를 양 / 樂 : 즐거울 락病 : 병들 병 / 憂 : 근심할 우 / 喪 : 죽을 상 / 哀 : 슬플 애 / 祭 : 제사 제 / 嚴 : 엄할 엄 문화 & 예술 & 스포츠/독서삼매경 2023.03.10
이인편(里仁篇) 子曰 放於利而行 多怨(자 왈 방 어 리 이 행 다 원) 공자가 말하였다. "이익만을 좇아서 살면 많은 미움을 받게 될 것이다."放 : 놓을 방 / 利 : 이로울 리 / 怨 : 원망할 원 문화 & 예술 & 스포츠/독서삼매경 2023.03.10
학이편(學而篇)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溫 不亦君子乎(자 왈 학 이 시 습 지 불 역 열 호 유 붕 자 원 방 래 불 역 락 호 인 부 지 이 불 온 불 역 군 자 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배우고 때때로 그것을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 벗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오니 즐겁지 아니한가?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워하지 않으니 군자가 아니겠는가?" 學 : 배울 학 / 時 : 때 시 / 習 : 익힐 습 / 亦 : 떠 역 / 說 : 기뻐할 / 朋 : 벗 붕 / 遠 : 멀 원 / 樂 : 즐거울 락 / 溫 : 따뜻할 온 -"不溫"에서는 "화를 내다", "성내다"의 뜻으로 해석됩니다. 문화 & 예술 & 스포츠/독서삼매경 2023.03.09
순명편(順命篇) 子曰 死生有命 富貴在天(자 왈 사 생 유 명 부 귀 재 천) 공자가 말하였다. "죽고 사는 것은 명에 있고, 부귀는 하늘에 달려 있다." 문화 & 예술 & 스포츠/독서삼매경 2023.03.09
채근담 我有功於人 不可念 而過則不可不念 人有恩於我 不可忘 而怨則不可不忘 (아 유 공 어 인 불 가 념 이 과 즉 불 가 불 념 인 유 은 어 아 불 가 망 이 원 즉 불 가 불 망) 내가 타인에게 베푼 일은 마음에 새기지 말고, 과오는 마음 깊이 새기지 않으면 안 된다. 타인에 나에게 베푼 은혜는 잊지 말아야 하고, 내가 가진 원망은 잊어야 한다. 我 : 나 아 / 功 : 공 공 / 念 : 생각할 념 / 過 : 지날 과 / 恩 : 은혜 은 / 忘 : 잊을 망 / 怨 : 원망할 원 문화 & 예술 & 스포츠/독서삼매경 202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