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기계발 68

🌸채근담

爽口之味 皆爛腸腐骨之藥 五分便無殃快心之事 悉敗身喪德之媒 五分便無悔(상구지미 개란장부골지약 오분변무앙 쾌심지사 실패신상덕지매 오분변무회) 입을 즐겁게 하는 음식은 모두 장을 상하게 하고 뼈를 썩게 하는 독약과 같으니, 절반쯤에서 그쳐야 화를 면한다. 마음을 즐겁게 하는 일은 모두가 몸을 망치고 덕을 잃게 하는 매개가 되니, 절반쯤에서 그쳐야 후회가 없을 것이다. 爽 : 시원할 상 / 爛 : 빛날 란 / 腸 : 창자 장 / 腐 : 썩을 부 / 藥 : 약 약 / 便 : 편할 변殃 : 재앙 앙 / 快 : 쾌할 쾌 / 悉 : 모두 실 / 敗 : 패할 패 / 媒 : 중매 매 / 悔 : 뉘우칠 회

🌻채근담

彼富我仁 彼爵我義 君子固不爲君相所牢籠人定勝天 志一動氣 君子亦不受造物之陶鑄(피 부 아 인 피 작 아 의 군 자 고 불 위 군 상 소 뢰 롱 인 정 승 천 지 일 동 기 군 자 역 불 수 조 물 지 도 주) 타인에게 부가 있다면 나에게는 인(仁)이 있고, 타인이 지위를 내세운다면 나에게는 의로움(義)이 있다. 그러므로 군자는 굳건하여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농락당하지 않는다. 사람이 머물 곳을 안다면 하늘도 이길 수 있고, 뜻을 하나로 한다면 기질도 움직일 수 있다. 그러므로 군자는 조물주가 정해 준 양성기준에 갇히지 않는다. 彼 : 저 피 / 爵 : 벼슬 작 / 牢 : 옥소리 뢰 / 籠 : 대그릇 롱 / 陶 : 질그릇 도 / 鑄 : 쇠부어만들 주

명심보감_효행편(孝行篇)

詩曰 父兮生我 母兮鞫我 哀哀父母 生我勞 欲報深恩 昊天罔極 (시 왈 부 혜 생 아 모 혜 국 아 애 애 부 모 생 아 로 욕 보 심 은 호 천 망 극) [시전(詩傳)]에서 말하였다. "아버지 날 낳으시고 어머니 날 기르시니 슬프고 슬프도다 어버이시여.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 애쓰셨다. 그 깊은 은혜 보답하고자 해도 넓고 넓은 하늘과 같아 끝이 없구나." 兮 : 어조사 혜 / 鞫 : 조사받을 국 / 哀 : 슬플 애 / 勞 : 일할 로 / 深 : 깊을 심 / 恩 : 은혜 은 / 昊 : 하늘 호 罔 : 그물 망 / 極 : 다할 극

🌷채근담

事窮勢蹙之人 當原其初心 功成行滿之士 要觀其末路(사 궁 세 축 지 인 당 원 기 초 심 공 성 행 만 지 사 요 관 기 말 로) 매사에 어려움에 부딪치고 그 기세가 꺾인 사람은 마땅히 초심을 돌이켜 봐야 한다. 공을 이루고 많은 것을 이룬 사람은 마땅히 일의 마지막을 살펴보아야 한다. 窮 : 다할 궁 / 勢 : 권세 세 / 蹙 : 대지를 축 / 滿 : 찰 만 / 要 : 중요할 요 / 觀 : 볼 관

명심보감_치가편(治家篇)

司馬溫公曰 凡諸卑幼事無大小 毋得專行 必咨稟於家長 (사 마 온 공 왈 범 제 비 유 사 무 대 소 무 득 전 행 필 자 품 어 가 장) 사마온공이 말하였다. "무릇 아랫사람들은 대소사를 단독으로 처리하지 말고 집안 어른께 묻고 여쭈어야 할 것이다." 司 : 맡을 사 / 溫 : 따뜻할 온 / 凡 : 무릇 범 / 諸 : 모두 제 / 卑 : 낮을 비 / 幼 : 어릴 유 / 毋 : 말 무 專 : 오로지 전 / 咨 : 물을 자 / 稟 : 여쭐 품

🌹채근담

天地寂然不動 而氣機無息少停 日月晝夜奔馳 而貞明萬古不易 故君子閒時要有喫緊的心事 忙處要有悠閒的趣味 (천 지 적 연 부 동 이 기 기 무 식 소 정 일 월 주 야 분 치 이 정 명 만 고 불 역 고 군 자 한 시 요 유 끽 긴 적 심 사 망 처 요 유 유 한 적 취 미) 천지는 고요하며 움직이지 않으며 그 기(氣)의 흐름은 잠시도 멈추지 않는다. 해와 달은 밤낮으로 부지런히 달리고 있지만 그 빛은 만고(萬古)에 바뀌지 않는다. 그러함에 군자는 한가한 때에 다급할 때를 대비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하고, 바쁜 중에도 여유로움을 잃지 않아야 한다. 寂 : 고요할 적 / 然 : 그러할 연 / 機 : 베틀 기 / 息 : 숨쉴 식 / 停 : 머무를 정 / 晝 : 낮 주 / 奔 : 달릴 분 / 馳 :..

🧠채근담

不責人小過 不發人陰私 不念人舊惡 三者可以養德 亦可以遠害(불 책 인 소 과 불 발 인 음 사 불 념 인 구 악 삼 자 가 이 양 덕 역 가 이 원 해) 타인의 작은 과오를 책망하지 아니하고, 타인의 사사로운 비밀을 발하지 아니하고, 타인의 지난 과오를 생각하지 마라. 이 세 가지가 가히 덕을 기를 수 있으며, 또한 해로움을 멀리할 수 있을 것이다. 責 : 꾸짖을 책 / 陰 : 그늘 음 / 舊 : 예 구 / 養 : 기를 양 / 德 : 덕 덕 / 遠 : 멀 원

명심보감_입교편(入敎篇)

子曰 立身有義而孝爲本 喪祀有禮而哀爲本 戰陳有列而勇爲本 治政有理而農爲本 居國有道而嗣爲本 生財有時而力爲本 (자 왈 입 신 유 의 이 효 위 본 상 사 유 례 이 애 위 본 전 진 유 열 이 용 위 본 치 정 유 리 이 농 위 본 거 국 유 도 이 사 위 본 생 재 유 시 이 력 위 본) 공자가 말하였다. "입신(立身)에는 의(義)가 있으나 효(孝)가 그 근본 바탕이 되고, 상례(喪禮)에는 예(禮)가 있으나 슬퍼함(哀)이 그 기본이 됩니다. 전장에서는 질서(列)가 있으나 용기(勇)가 그 근본이 되고, 정치에 있어서는 이치(理)가 있으나 농사가 근본이 됩니다. 나라를 다스림에 도(道)가 있으니 그 계승이 근본이되며, 재물을 이룸에 있어서 때가 있으나 노력(力)이 근본이 됩니다." 喪 : 죽을 상 / 祀 : 제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