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명심보감 33

명심보감_팔반가(八反歌)

幼兒或詈我 我心覺歡喜 父母嗔怒我 我心反不甘 一喜懽一不甘 待兒待父心何懸 勸君今日逢親怒 也應將親作兒看 (유 아 혹 이 아 아 심 각 환 희 부 모 진 노 아 아 심 반 불 감 일 희 환 일 불 감 대 아 대 부 심 하 현 권 군 금 일 봉 친 노 야 응 장 친 작 아 간) 아이가 혹시 나를 꾸짖으면 나의 마음은 기쁨으로 각인되고, 부모가 나를 심하게 꾸짖으면 나의 마음은 오히려 달갑게 여기지 않는다. 한 가지는 기쁘고 한 가지는 달갑지 않으니 아이를 대하는 것과 어버이를 대하는 것이 어찌 이다지도 현격한 차이가 있는가. 당신에게 권하건대 지금 어버이에게 꾸지람을 듣는다면 반드시 자신의 어린아이에게 꾸지람을 듣는 것과 같이 하라. 幼 : 어릴 유 / 詈 : 꾸짖을 리 / 覺 : 깨닫을 각 / 歡 : 기뻐할 환..

명심보감_준례편(遵禮篇)

子曰 居家有禮故 長幼辯 閨門有禮故 三族和 朝廷有禮故 官爵序 田獵有禮故 戎事閑 軍旅有禮故 武功成 (자 왈 거 가 유 례 고 장 유 변 규 문 유 례 고 삼 족 화 조 정 유 례 고 관 작 서 전 렵 유 례 고 융 사 한 군 여 유 례 고 무공성) 공자가 말하였다. "집에 거함에 예가 있어서 어른과 아이가 분별되고, 규문에 예가 있어서 삼족(三族)이 화목하고, 벼슬자리에 나아감에 예가 있어서 벼슬과 지위에 질서가 따르고, 사냥에 예가 있어서 사냥에도 시기가 존재하며, 군에 예가 있어서 무공을 이룰 수 있다. 辯 : 판별할 변 / 閨 : 안방 규 / 爵 : 벼슬 작 / 獵 : 사냥할 렵 戎 : 되 융 / 閑 : 한가할 한 / 武 : 굳셀 무 / 功 : 공 공

명심보감_성심편(省心篇)

子曰 不觀高崖 何以知顚墜之患 不臨深泉 何以知沒溺之患 不觀巨海 何以知風波之患 (자 왈 불 관 고 애 하 이 지 전 추 지 환 불 임 심 천 하 이 지 몰 익 지 환 불 관 거 해 하 이 지 풍 파 지 환) 공자가 말하였다. "높은 낭떠러지를 보지 않고 어찌 떨어짐의 어려움을 알며, 깊은 샘에 가지 않으면 어찌 빠져 죽음의 어려움을 알며, 큰 바다를 보지 않고 어찌 풍파의 무서움을 알 수 있겠는가." 崖 : 낭떠러지 애 / 顚 : 이마 전 / 墜 : 떨어질 추 / 臨 : 임할 임 / 深 : 깊을 심 泉 : 샘 천 / 沒 : 잠길 몰 / 溺 : 빠질 익 / 波 : 물결 파

명심보감_효행편(孝行篇)

詩曰 父兮生我 母兮鞫我 哀哀父母 生我勞 欲報深恩 昊天罔極 (시 왈 부 혜 생 아 모 혜 국 아 애 애 부 모 생 아 로 욕 보 심 은 호 천 망 극) [시전(詩傳)]에서 말하였다. "아버지 날 낳으시고 어머니 날 기르시니 슬프고 슬프도다 어버이시여.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 애쓰셨다. 그 깊은 은혜 보답하고자 해도 넓고 넓은 하늘과 같아 끝이 없구나." 兮 : 어조사 혜 / 鞫 : 조사받을 국 / 哀 : 슬플 애 / 勞 : 일할 로 / 深 : 깊을 심 / 恩 : 은혜 은 / 昊 : 하늘 호 罔 : 그물 망 / 極 : 다할 극

명심보감_치가편(治家篇)

司馬溫公曰 凡諸卑幼事無大小 毋得專行 必咨稟於家長 (사 마 온 공 왈 범 제 비 유 사 무 대 소 무 득 전 행 필 자 품 어 가 장) 사마온공이 말하였다. "무릇 아랫사람들은 대소사를 단독으로 처리하지 말고 집안 어른께 묻고 여쭈어야 할 것이다." 司 : 맡을 사 / 溫 : 따뜻할 온 / 凡 : 무릇 범 / 諸 : 모두 제 / 卑 : 낮을 비 / 幼 : 어릴 유 / 毋 : 말 무 專 : 오로지 전 / 咨 : 물을 자 / 稟 : 여쭐 품

명심보감_입교편(入敎篇)

子曰 立身有義而孝爲本 喪祀有禮而哀爲本 戰陳有列而勇爲本 治政有理而農爲本 居國有道而嗣爲本 生財有時而力爲本 (자 왈 입 신 유 의 이 효 위 본 상 사 유 례 이 애 위 본 전 진 유 열 이 용 위 본 치 정 유 리 이 농 위 본 거 국 유 도 이 사 위 본 생 재 유 시 이 력 위 본) 공자가 말하였다. "입신(立身)에는 의(義)가 있으나 효(孝)가 그 근본 바탕이 되고, 상례(喪禮)에는 예(禮)가 있으나 슬퍼함(哀)이 그 기본이 됩니다. 전장에서는 질서(列)가 있으나 용기(勇)가 그 근본이 되고, 정치에 있어서는 이치(理)가 있으나 농사가 근본이 됩니다. 나라를 다스림에 도(道)가 있으니 그 계승이 근본이되며, 재물을 이룸에 있어서 때가 있으나 노력(力)이 근본이 됩니다." 喪 : 죽을 상 / 祀 : 제사..

명심보감_정기편(正己篇)

性理書云 見人之善而尋其之善 見人之惡而尋其之惡 如此 方是有益 (성 리 서 운 견 인 지 선 이 심 기 지 선 견 인 지 악 이 심 기 지 악 여 차 방 시 유 익) [성리서]에 말하였다. "사람(타인)의 선함을 보고 나의 선함을 찾고, 사람(타인)의 악함을 보고 나의 악함을 찾게 되는 것이니, 이와 같이 하는 것이 바야흐로 유익함이 된다. 性 : 성품 성 / 理 : 다스릴 리 / 尋 : 찾을 심 / 益 : 더할 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