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3/02 32

명심보감_성심편(省心篇)

子曰 不觀高崖 何以知顚墜之患 不臨深泉 何以知沒溺之患 不觀巨海 何以知風波之患 (자 왈 불 관 고 애 하 이 지 전 추 지 환 불 임 심 천 하 이 지 몰 익 지 환 불 관 거 해 하 이 지 풍 파 지 환) 공자가 말하였다. "높은 낭떠러지를 보지 않고 어찌 떨어짐의 어려움을 알며, 깊은 샘에 가지 않으면 어찌 빠져 죽음의 어려움을 알며, 큰 바다를 보지 않고 어찌 풍파의 무서움을 알 수 있겠는가." 崖 : 낭떠러지 애 / 顚 : 이마 전 / 墜 : 떨어질 추 / 臨 : 임할 임 / 深 : 깊을 심 泉 : 샘 천 / 沒 : 잠길 몰 / 溺 : 빠질 익 / 波 : 물결 파

광야에 외치다 – 이육사의 시가 남긴 자유의 울림

광야(廣野)까마득한 날에 / 하늘이 처음 열리고 /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모든 산맥들이 / 바다로 연모(戀慕)해 휘달릴 때도 / 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끊임없는 광음(光陰)을 /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지금 눈 내리고 /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다시 천고(千古) 뒤에 / 백마(白馬) 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있어 / 이 광야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이육사[李陸史] * 이육사(李陸史)_ 본명 이원록(李源祿)으로 1904년 경상북도 예안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자 시인입니다. 한용운, 윤동주와 함께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저항시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독립운동단체인 의열단, 군정부, 정의부 등에서 가담하여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