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앨리스 먼로(Alice Munro) 『디어 라이프(Dear Life)』, 삶에 바치는 마지막 단편의 고백
💌 디어 라이프(Dear Life): 앨리스 먼로가 삶에 건네는 가장 사적인 고백 ✨
🌹 프롤로그: "현대 단편소설의 거장"이 건네는 삶의 편지
안녕하세요, 잡학다식(雜學多識)입니다.
"현대 단편소설의 거장(Master of the contemporary short story)."
2013년, 스웨덴 한림원이 앨리스 먼로(Alice Munro)에게 노벨문학상을 수여하며 붙여준 수식어입니다. 캐나다 작가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이자, 단편소설이라는 장르 자체의 완결성을 전 세계에 입증한 역사적인 순간이었습니다. 그녀의 작품 세계는 곧 인생의 예기치 않은 변주와 여성의 내밀한 심리를 다루는 데 있어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
그리고 오늘, 우리가 심층적으로 파헤쳐 볼 작품은 바로 그녀의 오랜 커리어의 절정이자, 작가가 절필을 선언하기 전 세상에 내놓은 마지막 작품으로 알려진 걸작 단편집 『디어 라이프(Dear Life)』입니다.
제목처럼, 이 책은 독자들에게 "친애하는 삶에게"라는 따뜻하지만 동시에 쓰라린 고백을 건넵니다. 앨리스 먼로의 가장 심오하고 원숙한 통찰이 담긴 이 작품집을 통해, 우리는 일상 속에 숨겨진 인간 본질의 비밀, 불안, 그리고 충동을 함께 마주하게 될 것입니다.
[노벨문학상 수상작가]파트릭 모디아노와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 기억의 미궁을 걷다
🇫🇷 파리 미궁을 헤매는 기억의 탐정: 파트릭 모디아노와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안녕하세요, 잡학다식(雜學多識)입니다. 오늘은 전 세계 문학계를 뒤흔들었던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파트
yubinsarang.com
👩🌾 작가 소개: 앨리스 먼로(Alice Munro) — 캐나다 시골에서 길어 올린 삶
앨리스 먼로는 1931년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작은 마을 윙엄(Wingham)에서 태어났습니다. 모피 농장을 운영하는 아버지와 교사 출신인 어머니 밑에서 자란 그녀의 어린 시절과 배경은 그녀의 문학적 자양분이 되었습니다. 실제로 그녀의 소설 속 배경은 대부분 캐나다의 작은 타운이며, 그곳에서 살아가는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주를 이룹니다.
✍️ 단편소설가로서의 고독한 여정
먼로는 어린 시절부터 작가를 꿈꿨지만, 그녀의 문학적 데뷔는 쉽지 않았습니다. 결혼과 출산 후 육아와 살림을 병행하며 글쓰기를 계속해야 했고, 첫 소설집 『행복한 그림자의 춤』을 출간한 것은 그녀의 나이 서른일곱이 되어서였습니다.
그녀는 언제나 단편소설을 장편을 위한 징검다리가 아닌, 그 자체로 완결된 장르로 믿고 지켜왔습니다. 단편이라는 짧은 형식 안에 장편소설을 압축해 놓은 듯한 강력한 서사의 힘을 불어넣은 것이 그녀의 독보적인 능력이었습니다.
🏆 노벨상 수상과 '디어 라이프'의 의미
2013년, 그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단편소설의 가치는 전 세계적으로 재조명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영광의 순간, 그녀의 가장 최근작이자 '마지막 작품'이라 스스로 밝혔던 『디어 라이프』는 "작가로서의 능력이 최고조로 발휘된 작품"이라는 극찬을 받으며, 그녀의 문학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좌표가 되었습니다.
💔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 200명의 여성 목소리로 쓰인 전쟁의 진실 | 스베틀
💔 100만 여성의 침묵을 깬 목소리: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I. 🏆 작가 소개: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목소리 소설'의 창시자안녕하세요, 잡학다식
yubinsarang.com
🛤️ 1. 길 끝에서 시작된 이야기: 잊을 수 없는 유년의 풍경
소설의 화자인 '나'의 이야기는 "어린 시절 나는 길게 뻗은 길 끝에서 살았다"라는 담백한 문장으로 시작됩니다. 이 길은 단순히 지리적인 공간을 넘어, 타운의 활기찬 분위기와 시골의 고립된 삶을 나누는 경계선이었습니다.
🌉 1.1. 메이트랜드 강과 두 개의 다리
화자가 살던 길의 끝에는 메이트랜드 강이 흐르고 있었고, 타운의 끝을 표시하는 두 개의 다리가 있었습니다.
- 좁은 철교: 차들이 서로 지나가기 위해 골치 아픈 상황을 겪어야 했던 좁은 다리였습니다.
- 목조 보행교: 종종 판자 하나가 사라져 그 틈새로 빠르게 흐르는 투명한 물살을 내려다볼 수 있었던 곳. '나'는 그 투명한 물살이 좋았지만, 누군가 항상 판자를 끼워 넣어 시야를 막아버렸다는 회고는, 자유롭고 원초적인 시선이 끊임없이 현실의 질서에 의해 가려지는 유년기의 은유처럼 느껴집니다.
🏫 1.2. 학교의 변화와 전쟁의 그림자
'나'는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시절 집으로 걸어 돌아올 때, 등 뒤의 타운과는 달리 어둡고 조용한 길을 걸었습니다. 특히 학교에 대한 기억은 복합적입니다.
- 끔찍했던 시골 학교: 내 인생에서 2년 동안 다녔지만 다시는 보고 싶지 않은 곳. 못된 아이들이 점심을 빼앗고 협박했던 곳.
- 마법처럼 변한 학교: 그러나 독일과의 전쟁이 선포되자, 그 학교는 마법에 걸린 듯 해졌고, 괴롭히던 남자아이들은 입대를 위해 일자리를 얻으려고 안달이었습니다.
- 고상했던 타운 학교: '나'가 새롭게 옮겨간 타운의 학교는 더럽지 않은 변기 시트와 수세식 변기의 도시적인 소리가 마음의 위로가 되었습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어려움 속에서도, '나'는 고상하고 깨끗한 환경에서 지적 욕구를 충족하려 노력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나'의 유년기는 전쟁이라는 거대한 사건과 개인의 미시적인 변화가 교차하는 시기였으며, 이는 먼로 소설 특유의 시대와 삶의 미묘한 공존을 보여줍니다.
세상이 질문할 때, 『바람만이 아는 대답(Chronicles: Volume One)』 : 밥 딜런(Bob Dylan) 자서전 집중 탐
🎸 바람만이 아는 대답: 밥 딜런 (Bob Dylan) 의 전설 따라 걷는 뉴욕의 거리 노벨 문학상 수상자가 직접 기록한 예술가의 고독한 여정, 그리고 뉴욕 지하 세계에서 찾은 음악의 뿌리! 안녕하세요,
yubinsarang.com
👨👩👧 2. 가족의 삶과 시대의 고난: 모피 사업의 몰락과 어머니의 병
소설은 화자 가족이 겪었던 재정적, 육체적 고난을 담담하게 그려냅니다. 특히 아버지의 사업과 어머니의 병은 '나'의 삶에 깊은 그림자를 드리웁니다.
💰 2.1. 사업의 좌절과 아버지의 고독
아버지는 원래 부모에게 괜찮은 농장을 물려받았지만, 안주하지 않고 살 곳을 떠나 여우와 밍크를 키우는 모피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 사업에 아버지와 어머니는 모은 돈을 모두 쏟아부었지만, 시대적 타이밍이 맞지 않아 결국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 아버지의 변화: 사업이 기울자, 아버지는 낮에는 가축 우리를 허물고, 밤 10시부터는 주물 공장의 경비원으로 일하며 생계를 꾸려 나갔습니다. 위험한 일이었지만, '나'는 아버지가 고대고 위험한 일을 하러 가는 것이었지만, 집에서 벗어날 수 있어 기뻤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집 안에 닥친 또 다른 재앙으로부터의 일종의 도피이자 해방구였습니다.
- 딸의 보조: '나'는 고등학교에서 돌아오면 곧바로 아버지의 도시락을 만들었습니다. 코티지 햄을 구워 케첩을 뿌리고, 진한 차와 파이를 담는 일은, 소녀가 짊어져야 했던 조숙한 책임감을 보여줍니다.
💔 2.2. 어머니의 병과 슬픔의 예고
아버지의 사업 실패보다 더 예상할 수 없고, 더 재앙 같은 일은 어머니에게 발병한 파킨슨병이었습니다. 어머니는 40대라는 이른 나이에 이 병을 앓게 되었습니다.
- 침묵하는 고통: 어머니는 아침에 도움을 받아 옷을 입을 수 있었고, 내면에 간직했던 힘을 놀라울 만큼 오랫동안 끌어쓸 수 있었습니다. 그 힘은 그녀를 지탱했지만, 병은 점점 더 악화될 뿐이었습니다.
- 비극 속의 평온: 소설 속 화자는 "신기하게도 나는 그때를 불행한 시기로 기억하지 않는다"고 고백합니다. 이는 당시 가족이 현실을 완전히 직시하지 못했거나, 혹은 그 어려움 속에서도 서로에게 의지하며 나름의 평온을 유지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 2.3. 충돌과 화해: 폭력과 달아날 계획
어머니를 도와 집안일을 해야 했을 때, '나'는 걸핏하면 화를 내거나 시비를 걸었고, 어머니는 이로 인해 감정이 상해 아버지에게 일러바치곤 했습니다. 아버지는 하던 일을 중단하고 허리띠로 '나'를 때리는 벌을 주었고, '나'는 침대에 누워 달아날 계획을 세우며 훌쩍거리곤 했습니다. 이 구타의 기억은 훗날 성인이 된 '나'에게도 잊히지 않는 수치심으로 남았습니다.
하지만 이 시기는 지나갔고, 10대가 된 '나'는 점차 고분고분하고 심지어 쾌활해졌습니다. 집이 겪었던 어려움 속에서 화자는 성장통을 겪으며 가족의 일원으로 자리 잡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인간과 AI의 경계, <<클라라와 태양>>에서 찾는 사랑의 의미[노벨문학상 수상작가_가즈오 이시구
⭐ 인간과 인공지능의 경계, 가즈오 이시구로의 > 💖노벨문학상 작가가 던지는 '진정한 사랑'과 '인간성'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잡학다식(雜學多識)입니다. 깊이 있는 문학의 세계로 여
yubinsarang.com
😱 3. 기억의 불완전성: 네터필드 부인의 방문 사건
『디어 라이프』의 백미이자, 화자의 기억과 어머니의 서사가 복잡하게 얽히는 부분이 바로 네터필드 부인의 방문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나'의 어머니가 평생 잊지 못한 공포였고, '나'의 기억을 통해 끊임없이 재생됩니다.
🔪 3.1. 어머니의 공포: 손도끼와 덤웨이터
어머니는 '나'에게 네터필드 부인이라는 미친 노부인에 대한 이야기를 여러 번 해주었습니다. 노부인은 식료품 배달 청년이 버터를 빠뜨리자 손도끼를 들고 쫓아갔던 인물로 묘사됩니다.
어느 아름다운 가을날, '나'는 아기 유모차에서 잠을 자고 있었고, 어머니는 개수대에서 빨래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때 어머니가 창가에서 본 것은 골목길로 걸어오는 네터필드 부인이었습니다.
- 돌발적인 피신: 어머니는 친절이나 품위에 대한 생각은 떠올리지 않은 채, 부엌에서 뛰쳐나가 아기 유모차의 '나'를 낚아챘습니다.
- 공포의 숨바꼭질: 어머니는 부엌문을 잠그기 위해 허둥댔고, 결국 자물쇠가 없는 부엌문 손잡이 밑에 의자 하나를 받쳐 놓은 뒤, '나'를 품에 안은 채 덤웨이터(Dumbwaiter)에 숨어 있었습니다. 문을 두드리는 소리도, 우당탕 소리도 없었지만, 그 여자는 집 주변을 천천히 걸어 다니며 모든 아래층 창문에 얼굴을 바짝 붙여 안을 들여다보았습니다. 어머니는 그 여자가 유모차 안에 있던 담요를 들춰 본 것까지 보았다고 합니다.
이 일화는 어머니에게 "죽기 살기로 '나'를 낚아챈" 생존의 기억이었으며, '나'에게는 아주 오랫동안 기억하고 있었던 원초적인 공포였습니다.
🕰️ 3.2. 반전과 통찰: 기억의 재구성
시간이 흘러 '나'는 결혼 후 밴쿠버로 이주한 뒤에도 고향에서 발행되는 주간지를 구독했습니다. 우연히 신문에서 네터필드라는 성을 발견했는데, 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사는 한 여자가 유년 시절에 대한 시를 써서 보낸 것이었습니다. 그녀는 '나'가 살던 강 위에 있는 풀이 무성한 언덕에 대한 평화롭고 즐거웠던 추억을 노래했습니다.
이 단순한 발견은 '나'에게 큰 깨달음을 주었습니다. 단조로운 기록 작업을 통해 '나'는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됩니다.
"네터필드 부부가 그 집을 팔고 우리 부모님이 그 집으로 이사 가기 전에 네터필드 가족이 그 집에 살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어머니가 그토록 공포에 질려 '나'를 안고 숨었던 미친 노부인 네터필드 부인은 사실 자신이 살았던 옛집의 창문을 들여다보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신문에 시를 보낸 여자는 아마도 노부인의 딸이었을 것입니다.
- 노부인의 진실: 어쩌면 아기 유모차에서 노부인이 찾고 있었던 것은 다 커서 멀리 떠나간 딸이었는지도 모릅니다.
- 기억의 불완전성: 어머니는 네터필드 부인을 무섭고 위험한 존재로 기억했지만, '나'의 후속 추적은 노부인의 행동에 개인의 상실과 고독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합니다. 어머니의 기억이 '공포'에 머물렀다면, '나'는 시간이 지난 뒤 '연민'을 통해 어머니의 이야기를 재해석하는 것입니다.
[노벨문학상]신화, 역사, 삶과 죽음… 올가 토카르추크가 만든 ‘태고의 시간’
✨ 태고의 시간들: 올가 토카르추크가 빚어낸 영원한 순환의 이야기 📚폴란드 작은 마을 '프라비엑'에 숨겨진 삶과 죽음, 신화와 역사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잡학다식(雜學多識)입니다. 2018
yubinsarang.com
🕊️ 4. 에필로그: 삶에게 보내는 궁극의 용서
이 자서전적 소설은 마지막에 이르러 개인적인 고백과 궁극적인 통찰을 남기며 끝을 맺습니다.
😢 4.1. 장례식에 가지 못한 딸
소설 말미, 화자는 가장 가슴 아픈 고백을 합니다.
"어머니의 마지막 순간에도 그리고 장례식에도 나는 집에 가지 않았다."
밴쿠버에 살았던 '나'는 어린 자식들이 있었고, 아이를 맡길 사람이 없었으며, 경비도 없었다고 이유를 말하지만, 이 모든 것은 '나'의 마음속에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죄책감과 회한으로 남았습니다. '나'가 기록을 뒤져 어머니의 이야기를 재해석하려 했던 것은, 더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았던 어머니와 대화를 나누고 싶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 4.2. 삶에게 건네는 마지막 문장
앨리스 먼로는 이 모든 상실, 고통, 그리고 불완전한 기억들을 응시하며, 우리에게 가장 위대한 깨달음을 전달합니다.
"사람들은 말한다 어떤 일들은 용서받을 수 없다고 혹은 우리 자신을 결코 용서할 수 없다고"
하지만 '나'는 삶의 모든 모순과 비극, 그리고 자신의 후회를 끌어안고 다음과 같이 마무리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용서한다 언제나 그런다"
이 마지막 문장은, 파킨슨병을 앓던 어머니의 고통, 모피 사업의 몰락, 유년 시절의 폭력, 그리고 장례식에 가지 못한 딸의 회한까지, 인생의 모든 쓰라린 순간들을 '삶(Life)'이라는 이름으로 끌어안고 받아들이는, 거장의 궁극적인 용서이자 화해의 언어입니다. 『디어 라이프』는 이렇게 불완전하고 모호한 우리의 삶 자체에 대한 따뜻하고도 강렬한 긍정을 던지며, 독자들의 마음에 깊은 울림을 남깁니다.
[노벨문학상]현대문학의 존재론적 여정, <긴 이별을 위한 짧은 편지>로 본 한트케 작가론
✍️ 페터 한트케의 《긴 이별을 위한 짧은 편지》: 우리는 왜 끝없이 방황하는가? 🗺️'노벨 문학상' 작가가 던지는 가장 깊은 질문, 삶이라는 '로드 무비' 속으로 🍂안녕하세요, 잡학다식(雜
yubinsarang.com
✨ 독자 여러분께: 당신의 '디어 라이프'는 무엇인가요?
앨리스 먼로가 자신의 유년과 가족의 기억을 통해 삶의 복잡성과 깊이를 담아냈듯이, 우리 모두의 일상 속에도 '디어 라이프'라고 부를 만한 수많은 서사적 순간들이 숨겨져 있습니다. 평범함 속의 특별함, 고통 속의 아름다움, 상실 속의 깨달음... 먼로의 글이 주는 위로는, '인생은 그런 것'이라는 담담한 인정에서 비롯됩니다.
여러분이 지금 이 시점에 자서전을 쓰신다면, 어떤 특별한 기억, 어떤 통찰로 글을 써 내려가시겠습니까? 💭 이 소설을 통해 당신의 인생에게 보내는 편지를 써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길 바랍니다.
[블루보틀] 블렌드 원두 250g 4종 (택1) | 컬리
지금 컬리에서 만나보세요!
lounge.kurly.com
※ 이 포스팅은 컬리 큐레이터의 일환으로 구매 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Dear Life: Alice Munro’s Most Personal Confession to Life ✨
🌹 Prologue: A Letter to Life from the Master of the Contemporary Short Story
“Master of the contemporary short story.”
In 2013, this is how the Swedish Academy described Alice Munro when awarding her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It was a historic moment—the first time a Canadian writer received the Nobel Prize—and proof that the short story, often considered secondary to the novel, was itself a complete and powerful form.
Munro’s literary world is unrivaled when it comes to revealing the unexpected variations of life and the quiet depths of women’s inner psychology.
Today, we will explore her masterpiece Dear Life, the final short story collection she published before declaring her retirement, a culmination of her long and luminous career.
As its title suggests, this book offers readers both a warm and painful confession—“To Dear Life.” Within it, Munro shares her most mature insight, and through her stories, we uncover hidden truths, anxieties, and impulses at the heart of everyday existence.
👩🌾 About the Author: Alice Munro — Life Drawn from the Canadian Countryside
Born in 1931 in the small rural town of Wingham, Ontario, Munro grew up as the daughter of a fox farmer and a schoolteacher. Her upbringing in ordinary, small-town surroundings became the source of her literary inspiration. Unsurprisingly, many of her stories are set in Canada’s small towns, focusing on the quiet struggles and stories of people who might otherwise pass unnoticed.
✍️ Her Lonely Journey as a Short Story Writer
Though Munro dreamed of becoming a writer since childhood, her literary debut was not easy. She balanced writing with raising children after marriage, and it wasn’t until age 37 that she published her first collection, Dance of the Happy Shades.
Munro never treated short stories as stepping stones to novels. Instead, she believed in their integrity as a complete form. Her gift lay in compressing the power of a novel into the brevity of a short story, creating works marked by an intense narrative energy.
🏆 The Nobel Prize and the Meaning of Dear Life
Munro’s 2013 Nobel Prize redefined the global value of the short story. At that moment of recognition, her most recent work—Dear Life, which she had called her “final book”—was praised as “a work in which the author’s powers are at their highest.” It has since become a central text for understanding her literary achievement.
🛤️ 1. Stories from the End of the Road: Unforgettable Childhood Landscapes
The collection opens with a narrator’s simple statement: “I lived at the end of a long road when I was a child.”
This road is more than a geographical detail; it marks the boundary between the bustle of town life and the isolation of the rural countryside.
🌉 1.1. The Maitland River and Two Bridges
At the road’s end flowed the Maitland River, crossed by two bridges:
- A narrow iron bridge where cars struggled to pass each other.
- A wooden footbridge, with missing planks that revealed flashes of the rushing water below. The narrator recalls loving those glimpses of pure water, though adults always replaced the planks. This memory becomes a metaphor: a child’s raw, free vision is consistently obstructed by the orderliness imposed by adults and by life.
🏫 1.2. School Changes and the Shadow of War
The narrator recalls after-school walks on dark, quiet roads, away from town. The schools left mixed memories:
- A miserable rural school, two years of bullying and stolen lunches.
- A miraculously transformed school during WWII: the bullies desperate to enlist, the air charged with change.
- A polished town school, with real toilets and clean facilities—a revelation that soothed and encouraged learning.
Thus, childhood held both personal hardship and the great historical upheavals of war, a blend characteristic of Munro’s writing.
👨👩👧 2. Family Life and the Hardships of the Era: The Collapse of the Fur Business and the Mother’s Illness
The story quietly portrays the financial and physical struggles of the narrator’s family. Above all, the father’s failed business and the mother’s illness cast a long shadow over the narrator’s life.
💰 2.1. The Father’s Failed Business and His Solitude
The father originally inherited a good farm from his parents, but instead of settling down there, he ventured into the fur business, raising foxes and minks. He and his wife poured all their savings into the enterprise, but it collapsed—timing and economics working cruelly against them.
- The father’s change: As the business faltered, he tore down the animal pens during the day and, from 10 p.m. onward, worked nights as a security guard at a foundry. Though dangerous, the narrator imagined that he might have been relieved to escape the house, even by risking himself in such hazardous work. For him, it was not only hard labor but also a kind of refuge, a means of fleeing another calamity inside the home.
- The daughter’s help: Returning from high school, the narrator immediately fixed her father’s meals: frying cottage ham with ketchup, brewing strong tea, and packing pie. These small rituals of care marked the early maturity and weight of responsibility laid upon her.
💔 2.2. The Mother’s Illness and the Approach of Sorrow
More devastating than financial ruin was the blow of her mother’s illness. She was diagnosed with Parkinson’s disease in her early forties.
- Silent suffering: Each morning, she needed help getting dressed, yet she managed to draw on inner reserves of strength that sustained her for years. But the disease advanced steadily, beyond her control.
- Calm within tragedy: Remarkably, the narrator confesses, “I do not remember that time as an unhappy period.” Perhaps the family could not fully face reality at the time—or perhaps, despite everything, they supported each other enough to preserve a fragile serenity in the midst of hardship.
🥊 2.3. Conflict and Reconciliation: Violence and Plans of Escape
When asked to help her mother with housework, the narrator often lashed out or quarreled. The mother, hurt by this, would complain to the father. In response, he would stop his work, punish the narrator with his belt, and leave her weeping on the bed, plotting how to run away. These memories of being beaten remained into adulthood as indelible moments of shame.
And yet, that period eventually passed. In her teenage years, the narrator grew increasingly compliant, even cheerful. Through the difficulties and conflicts, she endured growing pains but ultimately found her place as a member of the family.
😱 3. The Imperfection of Memory: The Visit from Mrs. Netterfield
One of the most striking episodes of Dear Life, where the narrator’s memories intertwine with the mother’s story, is the visit from Mrs. Netterfield. This incident became an unforgettable terror for the mother and, through the narrator’s recollection, continued to live on and reshape itself.
🔪 3.1. The Mother’s Terror: The Hatchet and the Dumbwaiter
The mother often told her child about a crazy old woman named Mrs. Netterfield. According to her, this woman once chased a delivery boy with a hatchet after he forgot to bring butter.
One fine autumn day, the narrator, still a baby, was asleep in a pram while her mother did laundry at the sink. Suddenly, through the window, she saw Mrs. Netterfield walking down the alley toward the house.
- Panic flight: Without pausing to consider kindness or dignity, the mother ran outside, snatched the baby from the pram, and hurried back inside.
- Hide-and-seek of terror: In a panic, she propped a chair against the kitchen door, which had no lock, then hid in the dumbwaiter clutching the infant. Though there was no knocking or pounding, she heard the woman slowly circling the house, pressing her face up close to the downstairs windows, even lifting the blanket in the abandoned pram.
To the mother, this was a primal survival memory—grabbing the child “for dear life.” To the narrator, it remained as one of the most visceral terrors of childhood.
🕰️ 3.2. Reversal and Insight: Reconstructing Memory
Years later, even after marrying and moving to Vancouver, the narrator continued to subscribe to her hometown’s weekly newspaper. One day she saw the name Netterfield again. A woman from Portland, Oregon, had submitted a poem recalling her childhood by the river, with sunny, peaceful images of the grassy hills nearby.
Soon afterward, the narrator pieced together a shocking realization:
“I discovered that the Netterfields had lived in our house before my parents bought it and moved in.”
The “mad old woman” who once terrified her mother was, in fact, only looking through the windows of her former home. The woman in Portland who had written the poem was most likely her daughter.
- The old woman’s truth: Perhaps, when she lifted the baby blanket, she was searching not for an infant stranger but for her own grown daughter, long gone.
The imperfection of memory: To the mother, Mrs. Netterfield remained a figure of fear and threat. But the narrator’s later discovery reframed her actions with new meaning—loss, memory, and loneliness. What for the mother had crystallized as fear became, in the daughter’s reinterpretation, an act tinged with compassion.
🕊️ 4. Epilogue: The Ultimate Forgiveness Offered to Life
This autobiographical story closes with a deeply personal confession and an ultimate insight.
😢 4.1. The Daughter Who Could Not Attend the Funeral
At the very end, the narrator makes her most heartbreaking admission:
“I did not go home for my mother’s last moments, nor for her funeral.”
Living in Vancouver, she explains, she had young children, no one to leave them with, and no money for the trip. Yet none of these excuses erase the enduring guilt and remorse carved into her heart. Her search through records and memories, attempting to reinterpret her mother’s life, was—in truth—an attempt to continue a conversation with a mother who no longer existed in the world.
💖 4.2. The Final Words to Life
Alice Munro confronts all the loss, pain, and imperfection of memory and distills them into a profound revelation:
“People say there are things that cannot be forgiven, or that we can never forgive ourselves for…”
“But we do forgive. Always.”
This final line embraces every sorrow: the mother’s suffering from Parkinson’s, the collapse of the fur business, the violence of childhood, and the grief of a daughter absent from her mother’s funeral. It is the ultimate language of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accepting all of life’s bitterness under the single name of “Life.”
Dear Life thus delivers a warm yet piercing affirmation: though incomplete and ambiguous, life itself is worth embracing with compassion. It leaves readers with a profound resonance.
✨ To the Readers: What Is Your “Dear Life”?
Just as Alice Munro distilled the complexity and depth of her existence through childhood and family memories, so too do we all have countless moments within our daily lives deserving of the name Dear Life. The extraordinary within the ordinary, beauty within pain, insight within grief… Munro’s consolation springs from her calm declaration: “That is life.”
If you were to write your own memoir today, what memory, what revelation, would you set down? 💭 Perhaps this story invites you to compose your own letter—to life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