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OECD 회원국 자살률 순위, 한국 1위…WHO 통계로 본 현실[2021WHO통계분석]

돈단지73 2025. 8. 8. 21:00
728x90
반응형

 

🌍 전 세계 자살률이 가장 높은 10개국: 2021년 WHO 통계 분석

세계보건기구(WHO)의 2021년 집계 자료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적으로 70만 명 이상이 자살로 생을 마감합니다. 이는 매 100명 중 1명이 자살로 사망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특히 15~29세 청년층에서 자살은 세 번째 주요 사망 원인으로 꼽힙니다. 동시에 지난 20년 동안 세계 평균 자살률은 35% 감소했지만, 일부 국가는 여전히 매우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죠.

<<출처_WHO>>


728x90

📊 2021년 기준 세계 자살률 Top 10 국가 명단

순위 국가명 자살률(10만명당) 주요 특징 및 메모
1 레소토 (Lesotho) 36.7 아프리카 최상위, 빈곤·정신건강 정책 부재
2 에스와티니 (Eswatini) 31.8 精신과 자원 매우 부족, 남아공 인근 소국
3 가이아나 (Guyana) 26.3 남미 1위, 사회적 낙인, 정신건강인프라 미흡
4 짐바브웨 (Zimbabwe) 25.4 최빈국 중 하나, 정신과 전문의 18명 내외
5 수리남 (Suriname) 22.5 남미 북동부 소국, 정신과 전문의 10명
5 솔로몬제도 (Solomon Islands) 22.5 오세아니아 섬나라, 정신과 전문의 단 2명
7 우루과이 (Uruguay) 22.0 남미 3위, 복지국가임에도 고자살률
8 남아프리카공화국 (South Africa) 21.1 아프리카 경제강국, 전문의 930명
9 미크로네시아 연방 (Micronesia) 20.8 태평양 소국, 정신과 전문의 1명
10 대한민국 (South Korea) 20.6 아시아권 1위, 정신건강 인프라 확충 필요
※ 각국 자살률은 연령구조 보정 후 10만명당 발생 건수를 의미합니다. 이외에 그린란드, 리투아니아 등 일부 국가도 높은 자살률을 보이나, WHO 공식 리스트 상 상위 10개국에 위 국가들이 포함됩니다.

🌑 주요국별 자살 실태와 배경

1️⃣ 레소토 (Lesotho)

아프리카 남부의 내륙국으로, 2021년 기준 자살률 36.7명으로 세계 1위. 경제적 빈곤, 실업, 건강불평등, 젠더폭력, 정신의학 인프라 부재(정신과의사 실질적 부존재 등)가 심각합니다. 최근까지 국가 단위 정신보건 정책이 전무했으며, 고질적 사회경제적 취약성이 높은 자살률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 에스와티니 (Eswatini)

구 스와질랜드로 알려진 남아프리카 소국. 자살률 31.8명, 인구 120만에 전문의 1명뿐… 심각한 인력난과 사회적 낙인, 치료 환경 미비가 원인입니다.

3️⃣ 가이아나 (Guyana)

남미 북부. 자살률 26.3명, 남미국가 중 1위. 정신의학 예산(정부 의료비의 3%)은 비교 많으나, 전체 인프라 매우 부족. 인구 82만6000명에 정신과의사 16명 불과합니다.

4️⃣ 짐바브웨 (Zimbabwe)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최빈국 중 하나. 자살률 25.4명, 정신보건 예산은 전체 보건예산의 0.4% 수준. 인구 1500만 명에 정신과의사 1~18명 추정.

5️⃣ 수리남 (Suriname)

남미 소국, 자살률 22.5명. 인구 62만8000명에 정신과의사 10명.

<<출처_WHO>>

 

5️⃣ 솔로몬 제도 (Solomon Islands)

오세아니아 다도해 국가, 자살률 22.5명. 인구 80만, 정신과의사 2명.

7️⃣ 우루과이 (Uruguay)

남미 복지 선진국, 예상 밖의 자살률 22명. 인프라 불균형, 남성 자살률 높음. 544명 정신과의사.

8️⃣ 남아프리카공화국

인구 5500만에 자살률 21.1명, 정신과의사 930명. 문화적 금기와 사회경제 불평등이 복합 작용.

9️⃣ 미크로네시아 연방

태평양 섬나라, 자살률 20.8명. 인구 11만2000명에 정신과 전문의 1명.

🔟 대한민국

아시아 국가 중 1위, 자살률 20.6명. 2020년 기준 정신건강 예산은 전체 의료비의 2.4%, 총 인구 5100만에 정신과의사 4000여 명 분포. OECD 회원국 중 항상 자살률 최고치.


🌎 글로벌 트렌드와 남미/아프리카 집중

전 세계 자살의 73%는 저·중소득국가에서 발생, 아프리카와 남미 소국들이 상위를 굳건히 차지합니다. 반면, 고소득국가 대다수는 자살률 개선세를 보이는 중이며, 21년 글로벌 평균은 8.9명(10만명당)으로 내려갔지만, 아메리카 지역만은 20년 사이 오히려 17% 상승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왜 이런 격차가 존재하는가?

  • 정신보건 인력 부족: 세계 평균 10만명당 정신보건 인력 13명이나, 상위국 상당수는 한두 명 또는 0명에 불과.
  • 사회·경제적 위기: 빈곤, 실업, 질병, 사회 불안과 낙인 심각.
  • 예방·치료 투자 미진: 최근 WHO 기준, 정부정신건강 예산은 평균 의료비의 2.1%에 그침. 심각한 경우 0.4% 미만.

📉 개선 흐름과 과제

2000년 이후 꾸준한 정책 확대와 인식 개선으로 세계 평균 자살률이 35% 가까이 하락했으며, 다수 국가에서 예방정책이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요 저소득국가의 정책/인프라 사각지대, 아시아 일부 선진국의 만성적 자살률 등은 긴 급무로 남아 있습니다.


📝 마무리 : 데이터가 말하는 생명 존중의 과제

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 전체의 인식 변화와 복지 투자가 필수임을 데이터가 다시 한 번 보여주고 있습니다. 각국 현황과 국제적 기준을 참고로, 더 많은 생명이 소중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전 세계가 연대해야 할 때입니다.

 

여름 반려동물 전용 해수욕장 BEST 6…반려견과 즐기는 국내 펫비치 여행

올여름, 반려견과 함께 떠나는 해변 여행! 🐶🌊 전국 반려동물 전용 해수욕장 6선안녕하세요, 잡학다식(雜學多識)입니다. 파도 소리와 햇살, 그리고 사랑스러운 반려견과 자유롭게 뛰노는 순간

yubinsarang.com

 

“연말까지 소비 이어달리기!” 8월 숙박부터 11월 코세페까지…지역경제 살리는 할인 쿠폰 대방

소비 이어달리기 대축제🛒 2025 여름~연말까지 “쿠폰은 쏟아지고, 지방은 살아난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雜學多識)입니다. 올여름부터 연말까지, 대한민국 구석구석에서 쏟아지

yubinsarang.com

 

스타벅스, 카공족 논란에 데스크탑·프린터·멀티탭 매장 사용 전면 금지

>스타벅스, 드디어 ‘진상 카공족’에 칼 빼들다!안녕하세요, 잡학다식(雜學多識)입니다. 카페는 모두의 공간입니다. ☕️최근 스타벅스코리아가 “매장 내 개인 데스크톱, 프린터, 멀티탭, 칸

yubinsarang.com

 

이계호 교수 “물 2L 무조건 마시면 위험” 저나트륨 혈증 주의보! 올바른 수분·염분 섭취법 공

🔬 “잘못된 건강 상식 3가지, 저나트륨 혈증 환자가 늘고 있습니다”🧑안녕하세요, 잡학다식(雜學多識)입니다. 최근 이계호 교수는 tvN 인기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해, 한국

yubinsarang.com

 

여름철 온열질환 예방법과 응급처치 가이드: 열사병·열탈진 완벽 정리

🌞본격 폭염철 건강관리, 온열질환 완전정복 노하우🧊안녕하세요, 잡학다식(雜學多識)입니다. 여름이 본격 시작되면서 기온이 급상승하고 있습니다. 장마 뒤 한 번 찾아온 폭염, 도심이나 야

yubinsarang.com

 

728x90
반응형